길을 걷다 보면 우연히 돈다발이나 지갑, 고가의 물건을 주울 때가 있습니다. 이럴 때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것이 바로 사례금은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하는 부분입니다. 단순히 “고맙다”는 인사로 끝나는 것인지, 아니면 법적으로 정해진 보상이 있는 것인지 궁금해지죠.
돈을 주웠을 때 반드시 해야 할 일
먼저, 길에서 돈이나 지갑, 귀중품을 주웠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가까운 경찰서나 지구대에 신고 및 습득물 접수입니다. 현행법상 습득 후 바로 신고하지 않으면 점유이탈물횡령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. 실제로 습득한 돈을 신고하지 않고 사용했다가 처벌된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.
✅ 습득물 신고는 경찰청 유실물 통합포털 에서도 가능합니다.
사례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민법 제965조에 따르면 습득물의 반환 시 습득자는 일정 비율의 보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 그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현금, 귀금속, 유가증권 등 금전적 가치가 있는 물건:
👉 5% ~ 20%의 사례금 청구 가능
예를 들어, 길에서 100만 원을 주워 반환했다면 최소 5만 원에서 최대 20만 원까지 사례금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법적으로 강제성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. 만약 습득자가 사례금을 요구하지 않으면 주인이 지급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. 반대로 요구했을 때 지급을 거부하면 민사 소송으로도 청구할 수 있습니다.
현금 습득 시 주인 없으면 어떻게 될까?
습득 후 6개월 동안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습득자에게 소유권이 넘어갑니다. 단, 국공유물(도로, 공공기관, 공항 등)에서 주운 물건은 소유권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 이전됩니다. 개인이 소유권을 가질 수 없습니다.
🔍 관련 정보 확인: 대한법률구조공단 습득물 처리 절차
대한법률구조공단
효율적인 법률구조로 국민의 기본적 인권 옹호, 법률복지 증진
www.klac.or.kr
사례금 요구는 언제 할 수 있을까?
반환 시점에 바로 사례금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 다만 경찰서나 지구대에서 반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찰 입회 하에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만약 직접 반환하는 경우라면 상대방에게 법적 근거를 설명하고 요청하면 됩니다.
사례금 계산 공식은 간단합니다.
예) 습득 금액 × (5%~20%) = 사례금
사례금 관련 주의사항
- 지나친 요구는 금물
20%를 초과하는 금액을 요구하면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. 오히려 협박이나 공갈로 오해받을 수 있습니다. - 주인이 지급하지 않으면?
민법상 지급 의무가 있으므로, 소액 사건 민사소송을 통해 청구 가능합니다. - 세금은 없을까?
사례금은 일시적 소득이지만 과세 대상은 아닙니다. 다만 금액이 크다면 금융기관을 통해 입금될 경우 자금 출처 확인을 요구받을 수 있습니다.
✔️ 법률 상담이 필요하다면 법률홈닥터 를 이용해보세요.
실제 사례
- 사례1: 대전에서 한 시민이 주운 500만 원을 경찰서에 신고. 3개월 뒤 주인이 나타났고, 법정 최대치인 20%인 100만 원의 사례금을 받음.
- 사례2: 서울 강남에서 명품 가방을 주운 대학생. 가방 반환 후 소유자가 10%에 해당하는 30만 원을 사례금으로 지급.
결론
길에서 돈이나 물건을 주웠다면 반드시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법적으로 안전합니다. 그리고 정당하게 5~20% 범위 내에서 사례금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 단, 이를 넘어서거나 부당하게 요구하면 오히려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.
혹시 지금 주운 물건이 있다면 바로 경찰청 분실물 신고센터 를 통해 확인하고 신고해보세요.
돈을 주웠을 때 사례금은 선택이 아닌 법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. 정당한 권리를 알고 현명하게 대응하세요.
'머니인사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카드 주웠을 때 우체통에 넣어도 될까? 확실한 처리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7.08 |
---|---|
구글 애드센스 수익 미지급 신고 방법과 해결법 (0) | 2025.07.07 |
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시 환급금,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(0) | 2025.07.06 |
희망두배통장 중도해지, 불이익과 대안은?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총정리 (0) | 2025.07.05 |
저소득층 서민대출, 정부지원으로 숨통 트이는 금융 혜택 총정리 (0) | 2025.07.04 |